How to rebalance a portfolio (주식 리밸런싱 방법)

Upload : Aug/10/22

글 작성 : 2022년 8월 10일


It's about rebalancing portfolio.

포트폴리오 리벨런싱에 관한 글이에요.


Greeting!

안녕하세요!


I'm going to write down how to rebalance stocks. I learned how to rebalance. I found an Excel file that makes rebalancing easier, and you can download it from the site below.

주식 리밸런싱 하는방법에 대해 적어보려고 해요. 리밸런싱을 어떻게 하는지 배웠어요. 리밸런싱을 쉽게 하게 해주는 엑셀 파일을 찾았는데 아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할 수 있어요.


https://blog.naver.com/skluzy/222443694474


ㄴ 1

If you download the file, it will come out as shown in picture 2 below.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시면 아래 2번 사진과 같이 나올 거예요.


ㄴ 2


I'll change it to the stocks I want to buy.

제가 사고 싶은 주식들로 바꿔볼게요.


ㄴ 3


If you look at Figure 3 above, you can see that I have Apple, Microsoft, Amazon, Google, Tesla, TLT ETF, dollar cash in my portfolio. And if you look at the green box, it's $10,000, and I'm going to invest $10,000. And I wrote in the red box how I'm going to make a diversified investment of $10,000.  For example, Apple will only buy 20% in $10,000, and US Dollar will only have 10%.

위의 그림 3을 보시면, 제 포트폴리오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테슬라, TLT ETF, 달러 현금이 있는 것을 보실 수 있어요. 그리고 녹색 박스를 보시면 $10,000가 있는데 저는 $10,000를 투자하려고 해요. 그리고 $10,000를 어떻게 분산투자를 할지는 빨간색 박스에 적어놓았어요. 예를 들어 애플은 $10,000에서 20% 비율만 살 것이고 달러 현금은 10%만 가지고 있을 거예요.


ㄴ 4


In picture 4 above, the current prices of the stocks I'm going to buy are shown. I'll enter it in my portfolio according to the price above.

위의 사진 4에는 제가 살려고 하는 주식들의 현재 가격이 나와요. 위 가격대로 제 포트폴리오에 입력할게요.


ㄴ 5


If you look at the blue box in picture 5 above, you can see the prices I entered. And if you look at the red box, it says to adjust the quantity. Apple has 12, Microsoft has 7, Amazon has 10, Google has 12, Tesla has 1, and TLT has 4. The dollar is -9000 and it's marked -9000 because I need money to buy the stocks above.

위의 사진 5의 파란색 박스를 보시면 제가 입력한 가격들이 보여요. 그리고 빨간색 박스를 보시면 수량 조정을 하라고 나와요. 애플은 12개, 마이크로소프트는 7개, 아마존은 10개, 구글은 12개, 테슬라는 1개, TLT는 4개 사라고 해요. 달러는 -9000인데 위의 주식들을 살려면 돈이 필요하니까 -9000으로 표시가 되었어요.


ㄴ 6



Photo 6 above is a picture after buying stocks according to the set ratio. If you look at the blue box, you can see the quantity I bought. The red box is the remaining dollars I bought. The green box is the current rate(Fixed %) after buying the stocks, and it became similar to the rate I set. The stock prices are all different, so it seems difficult for the numbers to drop.

위의 사진 6은 설정해놓은 비율대로 주식을 사고 난 후의 사진이에요. 파란색 박스를 보시면 제가 구매한 수량을 보실 수 있어요. 빨간색 박스는 사고 남은 달러에요. 초록색 박스는 사고 난 후 현재의 비율인데 제가 설정했던 비율(Fixed %)과 비슷해졌어요. 주식 가격이 전부 달라서 숫자가 딱 떨어지기는 어려워 보여요.


If you look at the orange box, it tells you that there are no more stocks to buy because I bought stocks. This is the end of buying stocks in proportion. And over time, the price of the stock will go up or down, and the percentage you set will change. So let's say it's been 6 months and do the rebalancing.

주황색 박스를 보시면 제가 주식을 샀기 때문에 이제 더이상 사야 하는 주식이 없다는 것을 알려주고 있어요. 이것으로 비율에 맞게 주식을 사는 것은 끝났어요.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 주식의 가격은 오르거나 내릴 것이고, 맞춰놨던 비율도 달라질 거에요. 그래서 6개월이 지났다고 가정하고 리밸런싱을 해보도록 할게요.


ㄴ 7


If you look at photo 7 above, it's February 9, 2023, six months later. If you look at the blue box, the prices of the stocks have changed, but I changed them randomly. If you look at the red box, you can also see that the quantity has changed. According to the rate I set at the beginning, Apple asks me to sell 1 share and TLT asks me to buy 1 share. I'll try rebalancing.

위의 사진 7을 보시면 2023년 2월 9일로 6개월이 지난 후입니다. 파란색 박스를 보시면 주식의 가격들이 달라졌는데 제가 임의로 바꾼 숫자에요. 빨간색 박스를 보시면 수량이 달라진 것도 확인하실 수 있어요. 제가 처음에 설정했던 비율에 의해서 애플은 1주를 팔라고 하고 TLT는 1주를 사라고 나와요. 리밸런싱을 해볼게요.


ㄴ 8


The picture above 8 is after rebalancing after 6 months. If you look at the blue box, the quantity is different, and if you look at the red box, the quantity adjustment number is different. If you want to rebalance on February 9, 2023, and you want to add more money for investment, you can adjust the number of dollars.

위의 사진 8은 6개월이 지난 후 리밸런싱을 하고 난 후의 모습이에요. 파란색 박스를 보시면 보유 수량이 달라져 있고 빨간색박스를 보시면 수량조정 숫자가 달라져 있어요. 2023년 2월 9일에 리밸런싱을 하면서 투자금을 더 넣고 싶으시다면 달러의 숫자를 조정해주시면 되세요.


ㄴ 9


I can see from the picture 9 above that I have $2022. If you want to add $300 more, you can add $300 to the existing dollar.

위의 사진 9에서 $2022를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만약 $300를 추가 투입하고 싶으시다면 기존 달러에 $300를 더해주시면 돼요.


ㄴ 10


If you look at the blue box in picture 10 above, the total dollar held is $2,322, plus $300. If you look at the red box, it says to rebalance again because the dollar has increased. And I need to rebalance it.

위의 사진 10의 파란박스를 보시면 $300을 더해서 총 보유 달러는 $2,322가 되었어요. 빨간색 박스를 보시면 달러가 늘어났기 때문에 다시 리밸런싱을 하라고 나와요. 그리고 리밸런싱을 해주면 돼요.


There are cases where rebalancing is done twice or once a year.

리밸런싱은 1년에 2번이나 1번씩 하는 경우가 있다고 해요.


It was a way of rebalancing.

이상 리밸런싱하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았어요.


Thank you / 감사합니다.



Source / 출처

1. https://blog.naver.com/skluzy/222443694474

2. https://www.investing.com


Post for stock is simply for recording. This is not an investment invitation. The investor is responsible for all investments.

주식관련 포스트는 단순히 기록용입니다.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

Popular posts (인기글)

My stocks portfolio 1 (나의 실제 주식 포트폴리오 1)

Fed Funds Rate and FOMC dot plot (미국 기준금리와 FOMC 점도표)

US economic growth 2-1 / 미국 경제성장률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