ㄴ 2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gdp-growth
The U.S. GDP Growth Rate from 2002 to 2007 is as follows.
2002년 - 2007년의 미국 경제성장률은 위와 같아요.
ㄴ 3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terest-rate
The Fed Funds Rate for 2002 - 2007 is as follows.
2002년 - 2007년의 미국 기준금리는 위와 같아요.
I probably bought U.S. stocks on December 29, 2004.
저는 아마 2004년 12월 29일에 미국 주식을 샀을 거 같아요.
For reference, in September 2007, the Fed Funds Rate began to fall for the first time in the 5% range. As you know, when there is an economic crisis, the Fed lowers its Fed Funds Rate to zero. In September 2007, Fed Funds Rate fell from their peak of 5% for the first time, and I think that's in a similar vein. At that time, it was said that the high Fed Funds Rate weighed on the U.S. economy, so the FED lowered the Fed Funds Rate.
참고로 2007년 9월에 기준금리가 5% 정도 대에서 처음으로 하락하기 시작해요. 아시다시피 경제위기가 오면 fed는 기준금리를 제로금리로 내려요. 2007년 9월에 미국 금리가 최고점인 5%대에서 처음으로 내렸는데 이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저 당시 높은 기준금리가 미국경제에 부담이 되어 FED가 기준금리를 내렸을 거라는 말이 있어요.
< 2009 - 2018 >__________________

ㄴ Nasdaq / 나스닥 4
ㄴ Nasdaq / 나스닥 5
It seems like a good time to buy U.S. stocks on March 2009 - September 2018. I don't try to buy stocks at their lowest point in March 2009.
2009년 3월 - 2018년 9월까지는 미국 주식을 사기에 좋은 시기인 거 같아요. 저는 최저점인 2009년 3월에 주식을 사려는 노력은 하지 않아요.
In Figure 5 above, there is a sideways movement in the US stock market from July 2015 to November 2016 (1 year and 4 months). When I checked the U.S. GDP Growth Rate and the Fed Funds Rate at that time, I thought it would be good to keep buying stocks. There are also stocks that pay dividends.
위의 사진 5번에서 2015년 7월 - 2016년 11월 (1년 4개월)까지 미국 주식시장이 횡보하는 구간이 있어요. 저 당시 미국 경제성장률과 미국 기준금리를 확인했을 때 주식을 계속 사도 좋을 거 같아요. 배당금을 주는 주식도 있기 때문이에요.
I probably bought U.S. stocks at the end of October 2009 when I saw that the U.S. GDP Growth Rate was 1.5. (The U.S. GDP Growth Rate is said to be three months late as a lagging indicator.)
https://richrichrichtogether.blogspot.com/2022/10/us-economic-growth-3-oct2722-3-20221027.html
저는 아마 2009년 10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1.5인 걸 확인하고 미국 주식을 샀을 거에요. (경제성장률은 후행지표로써 3개월 늦게 나온다고 합니다.)
https://richrichrichtogether.blogspot.com/2022/10/us-economic-growth-3-oct2722-3-20221027.html
ㄴ 6
ㄴ Nasdaq / 나스닥 9
It seems to be a good time to buy US stocks on December 2018 - February 2020 (1 year and 2 months). I don't try to buy stocks at their lowest point in December 2018.
2018년 12월 - 2020년 2월 (1년 2개월)까지는 미국 주식을 사기에 좋은 시기인 거 같아요. 저는 최저점인 2018년 12월에 주식을 사려는 노력은 하지 않아요.
ㄴ10
The U.S. GDP Growth Rate for 2018 - 2020 is as above.
2018년 - 2020년의 미국 경제성장률은 위와 같아요.
ㄴ 11
The Fed Funds Rate for 2018-2020 is as above.
2018년 - 2020년의 미국 기준금리는 위와 같아요.
In August 2019, the Fed Funds Rate fell from 2.50% for the first time. As you know, when there is an economic crisis, the Fed lowers its Fed Funds Rate to zero. In August 2019, Fed Funds Rate fell from 2.5% for the first time, and I think that's in a similar vein.
2019년 8월에 미국 기준금리가 2.50%에서 처음으로 내렸어요. 아시다시피 경제위기가 오면 fed는 기준금리를 제로금리로 내려요. 2019년 8월에 미국 기준금리가 2.5%에서 처음으로 내렸는데 이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 2020 - 2021 >______________
ㄴ Nasdaq / 나스닥 12
It seems to be a good time to buy US stocks on March 2020 - November 2021 (1 year and 8 months). I don't try to buy stocks at their lowest point in March 2020.
2020년 3월 - 2021년 11월 (1년 8개월)까지는 미국 주식을 사기에 좋은 시기인 거 같아요. 저는 최저점인 2020년 3월에 주식을 사려는 노력은 하지 않아요.
ㄴ 13
The U.S. GDP Growth Rate for 2020-2021 is as above.
2020년 - 2021년의 미국 경제성장률은 위와 같아요.
At the end of April 2020, the U.S. GDP Growth Rate was approximately -4.6%.
At the end of July 2020, the U.S. GDP Growth Rate was approximately -29.9%.
At the end of October 2020, the U.S. GDP Growth Rate was approximately 35.3%.
2020년 0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은 대략 -4.6%에요.
2020년 07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은 대략 -29.9%에요.
2020년 10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은 대략 35.3%에요.
In the bull market from March 2020 to November 2021, I think I would have sold U.S. stocks at the end of April 2020 when I saw that the U.S. GDP Growth Rate was approximately -4.6%. And after seeing the 35.3% of U.S. GDP Growth Rate at the end of October 2020, I think I would have bought the stock again.
2020년 3월 - 2021년 11월의 상승장에서 저는 2020년 0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대략 -4.6%인 것을 확인하고 미국 주식을 팔았을 거 같아요. 그리고 2020년 10월 말에 경제성장률 35.3%를 보고 나서 주식을 다시 구매했을 거 같아요.
ㄴ 14
The Fed Funds Rate for 2020-2021 is as above.
2020년 - 2021년의 미국 기준금리는 위와 같아요.
< 2023 > _______________
On June 5, 2023, I actually bought U.S. stocks. The U.S. GDP Growth Rate announced on May 25, 2023, is 1.3%. The Fed Funds Rate for June 2023 is on the rise and was in the low 5% range. The reason I bought U.S. stocks at this time was that I thought the U.S. stock market had passed its low point, and I thought that the U.S. stock market would continue to rise for at least more than one year.
2023년 6월 5일에 저는 실제로 미국 주식을 샀어요. 2023년 5월 25일에 발표된 미국 경제성장률은 1.3%에요. 2023년 6월달의 미국 기준금리는 오르는 중이고 5% 초반이었어요. 이때 미국 주식을 산 이유는 미국 주식시장이 저점을 지났다고 생각했고 앞으로 적어도 1년 이상은 미국 주식 시장이 우상향할 거라고 생각했어요.
ㄴ 15
The U.S. GDP Growth Rate announced on May 25, 2023, is 1.3%.
2023년 5월 25일에 발표된 미국 경제성장률은 1.3%에요.
The Fed Funds Rate for June 2023 is on the rise and was in the low 5% range.
2023년 6월달의 미국 기준금리는 오르는 중이고 5% 초반이었어요.
ㄴ Nasdaq / 나스닥 17
I thought the U.S. stock market had passed its low point, and I thought that the U.S. stock market would continue to rise for at least more than one year.
미국 주식시장이 저점을 지났다고 생각했고 앞으로 적어도 1년 이상은 미국 주식 시장이 우상향할 거라고 생각했어요.
ㄴ Nasdaq / 나스닥 18
The picture above is a Nasdaq graph on August 27, 2023.
위의 사진은 2023년 8월 27일의 나스닥 그래프에요.
https://richrichrichtogether.blogspot.com/2023/06/my-stocks-portfolio-2-2.html
< Moving average 1 >
< 이동평균선 1 >
During the dot-com bubble or the financial crisis, the U.S. stock market crashed. At this time, you can refer to the 200-day moving average line to predict when to buy the U.S. stock again.
닷컴버블이나 세계 금융 위기 때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했어요. 이때 200일 이동평균선을 참고해서 다시 미국 주식을 구매하는 시점을 예상할 수 있다고 해요.
The blue line in the picture below is the 200-day moving average.
아래 사진 속 파란색 선은 200일 이동평균선이에요.
I set the period to "1 year" and took the picture with the interval set to 1W.
기간을 "1년"으로 해놓고 Interval을 1W로 해서 사진을 찍은 거예요.
Below is the dot-com bubble period.
아래는 닷컴버블 시기에요.
ㄴ Nasdaq / 나스닥 19
If you look at the picture above, you can see the blue 200-day moving average line rising and then falling from its high. And near that point is almost the lowest point of the U.S. stock market. And since then, the U.S. stock market has gone upwards.
위의 사진을 보시면 파란색 200일 이동평균선이 상승하다가 최고점에서 하락하는 게 보여요. 그리고 그 지점 근처가 거의 미국 주식시장의 최저점이에요. 그리고 이후 미국 주식시장은 우상향해요.
And since then, the U.S. stock market has gone upwards. When you look at the 200-day moving average line with the period of "1 year" and the interval of 1W, if the 200-day moving average falls from the high, it would be good to buy US stocks again at that time.
그리고 이후 미국 주식시장은 우상향해요. 기간을 "1년"으로 하고 Interval을 1W로 해서 200일 이동평균선을 봤을 때, 200일 이동평균선이 최고점에서 하락하면 그쯤에서 미국 주식을 다시 사면 좋을 거 같아요.
For reference, the picture above is when the 200-day moving average line is set with the period as "1 year" and the interval as 1D. I can see that the blue moving average line has changed.
참고로 위의 사진은 기간을 "1년"으로 하고 Interval을 1D로 해서 200일 이동평균선을 설정했을 때예요. 파란색 이동평균선이 달라진 게 보여요.
1Y is 1 year, 1W is 1 week, and 1D is 1 day.
1Y은 1년이고 1W은 1주일이고 1D는 1일이에요.
< Moving average 2 >
< 이동평균선 2 >
Below is the time of the financial crisis.
아래는 세계 금융 위기 시기에요.
I set the period to "1 year" and took the picture with the interval set to 1W.
기간을 "1년"으로 해놓고 Interval을 1W로 해서 사진을 찍은 거예요.
If you look at the picture above, you can see the blue 200-day moving average line rising and then falling from its high. And near that point is almost the lowest point of the U.S. stock market. And since then, the U.S. stock market has gone upwards.
위의 사진을 보시면 파란색 200일 이동평균선이 상승하다가 최고점에서 하락하는 게 보여요. 그리고 그 지점 근처가 거의 미국 주식시장의 최저점이에요. 그리고 이후 미국 주식시장은 우상향해요.
ㄴ Nasdaq / 나스닥 24
And since then, the U.S. stock market has gone upwards. When you look at the 200-day moving average line with the period of "1 year" and the interval of 1W, if the 200-day moving average falls from the high, it would be good to buy US stocks again at that time.
그리고 이후 미국 주식시장은 우상향해요. 기간을 "1년"으로 하고 Interval을 1W로 해서 200일 이동평균선을 봤을 때, 200일 이동평균선이 최고점에서 하락하면 그쯤에서 미국 주식을 다시 사면 좋을 거 같아요.
< Moving average 3 >
< 이동평균선 3 >
Below is the COVID-19 period.
아래는 코로나19 때예요.
I set the period to "1 year" and took the picture with the interval set to 1W.
기간을 "1년"으로 해놓고 Interval을 1W로 해서 사진을 찍은 거예요.
Unlike the dot-com bubble and the financial crisis, the 200-day moving average didn't fall during the COVID-19 period.
닷컴버블, 세계 금융 위기와 다르게 코로나19 때에는 200일 이동평균선이 하락하지 않았어요.
So far, after seeing U.S. stock market, U.S. GDP Growth Rate, Fed Funds Rate and 200-day moving average, I wrote about how to buy US stocks. Don't follow this strategy.
이상 미국 주식시장, 미국 경제성장률, 미국 기준금리, 200일 이동평균선을 보고, 제가 미국 주식을 사는 방법에 대해서 적어봤어요. 이 전략을 따라 하지 마세요.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