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en to buy stocks, when to sell, and when to wait and see 2/3 (주식을 사는 시기와 파는 시기 그리고 관망하는 시기 2/3)

Upload : Aug 28, 2023
글 작성 : 2023/8/28



Greeting!
안녕하세요!



- when to sell stocks

주식을 파는시기




Some stocks can be profitable even if you don't have to sell them.

어떤 주식 종목의 경우 굳이 팔지 않더라도 수익이 날 수 있어요.



Apple had a CAGR of 29.94% over the period Jan 31, 2007 - Jun 30, 2023 (for 16 years and 5 months). (For SPY ETF, the CAGR over the same period was 9.26%)

애플은 2007/1/31 - 2023/6/30 (16년 5개월 동안) 기간 동안 CAGR은 29.94%에요. (SPY ETF의 경우 같은 기간 CAGR은 9.26%)


ㄴ 1
https://richrichrichtogether.blogspot.com/2023/07/nasdaq-top-5-investment-strategies-5.html


Apple had a CAGR of 29.83% over the period Jun 30, 2013 - Jun 30, 2023 (for 10 years). (For SPY ETF, the CAGR over the same period was 12.50%)

애플은 2013/6/30 - 2023/6/30 (10년 동안)기간 동안 CAGR은 29.83%에요. (SPY ETF의 경우 같은 기간 CAGR은 12.50%)



Apple had a CAGR of 33.51% over the period Jun 30, 2018 - Jun 30, 2023 (for 5 years). (For SPY ETF, the CAGR over the same period was 12.13%)

애플은 2018/6/30 - 2023/6/30 (5년 동안) 기간 동안 CAGR은 33.51%에요. (SPY ETF의 경우 같은 기간 CAGR은 12.13%)



Apple had a CAGR of 34.35% over the period Jun 30, 2020 - Jun 30, 2023 (for 3 years). (For SPY ETF, the CAGR over the same period was 14.81%)

애플은 2020/6/30 - 2023/6/30 (3년 동안) 기간 동안 CAGR은 34.35%에요. (SPY ETF의 경우 같은 기간 CAGR은 14.81%)



Apple had a CAGR of 28.40% over the period Jun 30, 2022 - Jun 30, 2023 (for a year). (For SPY ETF, the CAGR over the same period was 8.82%)

애플은 2022/6/30 - 2023/6/30 (1년 동안) 기간 동안 CAGR은 28.40%에요. (SPY ETF의 경우 같은 기간 CAGR은 8.82%)


CAGR is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은 복리 연평균 성장률이에요. The Compound Annual Growth Rate (CAGR) is the annual growth of your investments over a specific period of time. In other words, it is a measure of how much you have earned on your investments every year during a given interval. 복리 연평균 성장률이란 1년이상의 기간 동안 매년 평균 어느 정도 비율로 성장해 왔는지를 비율로 나타낸 거에요.



According to the above, if you had held 1 Apple stock for 1 year without selling it, the stock price of 1 Apple stock would have risen by 28%, and if you had held it for 10 years without selling, the stock price of 1 Apple stock would have risen by 29.8% on average per year. On top of that, Apple stock dividends are a bonus.

위의 내용에 따르면 애플 주식 1주를 1년 동안 팔지 않고 가지고 있었으면 애플 주식 1주의 주가는 28% 상승을 했을 것이고, 10년 동안 팔지 않고 가지고 있었으면 애플 1주의 주가는 매년 평균적으로 29.8% 상승했을 거예요. 여기에 애플 주식 배당금은 덤이에요.




However, if the U.S. stock market crashes, such as the dot-com bubble, the financial crisis, or the COVID-19, it seems better to sell U.S. stocks before the crash. I wondered if I could prepare for such a crash, so I strategized. Don't follow this strategy.

하지만 닷컴버블, 세계 금융 위기, 코로나19 등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하는 일이 생긴다면 폭락이 오기 전에 미국 주식을 파는 것이 좋아 보여요. 이러한 폭락에 미리 대비할 수는 없을까 하여 저는 전략을 세웠어요. 이 전략을 따라 하지 마세요.



When I sell U.S. stocks, I look at U.S. GDP Growth Rate, U.S. stock markets, and Fed Funds Rate.

저는 미국 주식을 팔 때 미국 경제성장률, 미국 주식시장, 미국 기준금리를 참고해요.




< U.S. GDP Growth Rate >

< 미국 경제성장률 >



I looked at the U.S. GDP Growth Rate and the U.S. stock market and decided to sell U.S. stocks. I made a strategy to sell U.S. stocks based on the U.S. GDP Growth Rate and the Fed Funds Rate.

저는 미국경제성장률과 미국 주식시장을 보고 미국 주식을 판매해야겠다고 전략을 세웠어요.




- 2000 __________________


ㄴ 2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gdp-growth



According to the graph in the picture above, the average U.S. GDP Growth Rate was -1.3 from the end of April 2001 to the end of June 2001.
(The U.S. GDP Growth Rate is said to be three months late as a lagging indicator.)


위의 사진 속 그래프에 따르면 2001년 4월 말 ~ 6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은 평균적으로 -1.3이 나왔다고 해요.

(경제성장률은 후행지표로써 3개월 늦게 나온다고 합니다.)



ㄴ 3 ( NASDAQ / 나스닥 ) 



ㄴ 4 ( S&P 500 )



As you can see in Pictures 3 and 4 above, by the end of April 2001, the Nasdaq composite and S&P 500 were already in a downtrend. And the Nasdaq composite fell until October 9, 2002. And then It went upwards. The S&P 500 likewise fell until October 9, 2002. And then I went upwards. Even though the stock market is already falling, you have to sell U.S. stocks because you see that the U.S. GDP Growth Rate was negative at the end of April 2001 and that the stock market is in a downward trend at the end of April 2001. And indeed, the stock market fell until October 9, 2002. Of course, I could have sold it in other ways before the dot-com bubble crashed, but I don't know that.

위에 사진 3과 사진 4를 보면 2001년 4월 말에 나스닥지수와 S&P 500지수는 이미 하락세에 접어들었어요. 그리고 나스닥은 2002년 10월 9일까지 하락해요. 그리고 이후 우상향해요. S&P 500 지수도 마찬가지로 2002년 10월 9일까지 하락해요. 그리고 이후 우상향해요. 비록 이미 주식시장이 하락하는 중이지만 2001년 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값인 걸 확인하고 2001년 4월 말에 주식시장이 하락추세인 걸 아니까 미국 주식을 팔아야 해요. 그리고 실제로 주식시장은 2002년 10월 9일까지 하락해요. 물론 다른 방식으로 닷컴버블 하락이 시작하기 전에 미리 팔 수도 있었겠지만, 저는 그것을 몰라요.



Let's also take a look at the Fed Funds Rate during this time.

이 시기에 미국 기준금리도 살펴봐요.


ㄴ 5

https://tradingeconomics.com/united-states/interest-rate


In January 2001, Fed Funds Rate fell for the first time from a peak of 6.5%.

2001년 1월에 미국 금리가 최고점인 6.5%에서 처음으로 내렸어요.


ㄴ 6 ( NASDAQ / 나스닥 ) 



ㄴ 7 ( S&P 500 ) 


In January 2001, the Nasdaq composite and S&P 500 were falling. As you know, when there is an economic crisis, the Fed lowers its Fed Funds Rate to zero. In January 2001, Fed Funds Rate fell for the first time from their peak of 6.5%, and I think that's in a similar vein. At that time, it was said that the high Fed Funds Rate weighed on the U.S. economy, so the FED lowered the Fed Funds Rate. The U.S. stock market is falling, and the Fed Funds Rate seems to be going down with it.

2001년 1월에 나스닥지수와 S&P 500지수가 하락중에 있어요. 아시다시피 경제위기가 오면 fed는 기준금리를 제로금리로 내려요. 2001년 1월에 미국 금리가 최고점인 6.5%에서 처음으로 내렸는데 이것도 비슷한 맥락이라고 생각해요. 저 당시 높은 기준금리가 미국경제에 부담이 되어 FED가 기준금리를 내렸을 거라는 말이 있어요. 미국 주식시장이 내리고 미국 기준금리도 같이 내리는 것처럼 보여요.



By the way, the above period is the dot-com bubble.

참고로 위의 시기가 닷컴버블이에요.



- 2008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ㄴ 8



ㄴ 9


According to the graph in the picture above, the average U.S. GDP Growth Rate was -1.6 from the end of April 2008 to the end of June 2008. 
(The U.S. GDP Growth Rate is said to be three months late as a lagging indicator.)

위의 사진 속 그래프에 따르면 2008년 4월 말 ~ 6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은 평균적으로 -1.6이 나왔다고 해요.

(경제성장률은 후행지표로써 3개월 늦게 나온다고 합니다.)


ㄴ 10 ( NASDAQ / 나스닥 )



ㄴ 11 ( S&P 500 )


At the end of April 2008, both the Nasdaq composite and the S&P 500 were falling. The Fed Funds Rate at this time is as follows.

2008년 4월 말에 나스닥지수와 S&P 500지수 모두 하락중에 있어요. 이 시기 미국 기준금리는 다음과 같아요.


ㄴ 12



ㄴ 13


In September 2007, Fed Funds Rate fell for the first time from a peak of 5.25%. At that time, it was said that the high Fed Funds Rate weighed on the U.S. economy, so the FED lowered the Fed Funds Rate. The U.S. stock market is falling, and the Fed Funds Rate seems to be going down with it.

2007년 9월에 미국 기준금리가 최고점인 5.25%에서 처음으로 내렸어요. 저 당시 높은 기준금리가 미국경제에 부담이 되어 FED가 기준금리를 내렸을 거라는 말이 있어요. 미국 주식시장이 내리고 미국 기준금리도 같이 내리는 것처럼 보여요.



Given that we had negative U.S. GDP Growth Rate at the end of April 2008, that the U.S. stock market was falling, and that Fed Funds Rate were starting to fall from their peaks, I think it's good to think that we should sell U.S. stocks at the end of April 2008.

2008년 4월 말에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이 나왔고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중에 있고 미국 기준금리가 최고점에서 내리기 시작했다는 것에서, 2008년 4월 말에 미국 주식을 팔아야겠다는 생각을 하면 좋을 거 같아요.




By the way, the above period is the financial crisis.

참고로 위의 시기가 세계 금융 위기에요.



- 2020 ____________________________


ㄴ 14



ㄴ 15


According to the graph in the picture above, the average U.S. GDP Growth Rate was -4.6 from the end of April 2020 to the end of June 2020.
(The U.S. GDP Growth Rate is said to be three months late as a lagging indicator.)

위의 사진 속 그래프에 따르면 2020년 4월 말 ~ 6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은 평균적으로 -4.6이 나왔다고 해요.

(경제성장률은 후행지표로써 3개월 늦게 나온다고 해요.)


ㄴ 16 ( NASDAQ / 나스닥 )



ㄴ 17 ( S&P 500 )



The picture above is a picture of the crash during COVID-19. The U.S. stock market has crashed since February 2020. At the end of April 2020, the
U.S. GDP Growth Rate was roughly -4.6, so it was not enough to prepare for the crash with the U.S. GDP Growth Rate. At this time, the Fed Funds Rate is as follows.

위의 사진은 코로나 때 폭락한 사진이에요. 미국 주식시장은 2020년 2월 이후에 폭락을 했어요. 2020년 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대략 -4.6이 나왔으니, 이때에는 경제성장률로 폭락에 대비할 수는 없었어요. 이 시기에 미국 기준금리는 다음과 같아요.



ㄴ 18




ㄴ 19



In August 2019, the Fed Funds Rate began to fall from 2.5%. But

2019년 8월에 미국 기준금리가 2.5%에서 내리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ㄴ 20 ( NASDAQ / 나스닥 )



ㄴ 21 ( S&P 500 )



But looking at the U.S. stock market above, it's impossible for me to predict a crash after August 2019. I guess that's how I hit the crash during the pandemic. And I would have sold U.S. stocks at the end of April 2020 because the
U.S. GDP Growth Rate was roughly -4.6. And at the end of October 2020, when U.S. GDP Growth Rate turned positive, I would have bought stocks again. In October 2020, the Fed Funds Rate was still at zero. Please refer to the picture below.

하지만 위의 미국 주식시장을 보았을 때 2019년 8월 이후에 폭락이 올 것이라고 제가 예상하는 것은 불가능해요. 저는 그렇게 코로나 사태 때 폭락 장을 그대로 맞았을 거예요. 그리고 저는 2020년 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대략 -4.6이 나왔기 때문에 미국 주식을 팔았을 거예요. 그리고 미국 경제성장률이 양수로 돌아선 2020년 10월 말에 다시 주식을 샀을 거예요. 2020년 10월의 미국 기준금리는 여전히 제로금리에요. 아래 그림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ㄴ 22





ㄴ 23



U.S. GDP Growth Rate went from negative to 35.3% at the end of October 2020. At the end of October 2020, the U.S. stock market was also on the rise, so I would have bought U.S. stocks.

미국 경제성장률은 2020년 10월 말에 마이너스 값에서 35.3%로 바뀌어요. 2020년 10월 말에 미국 주식시장도 상승세라서 저는 미국 주식을 샀을 거 같아요.




- 2011 _______________________


ㄴ 24


At the end of April 2011, the U.S. GDP Growth Rate was -1. But

2011년 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1이 나왔어요. 하지만


ㄴ 25 ( NASDAQ / 나스닥 )


But when I looked at the U.S. stock market at the end of April 2011, I didn't see anything wrong, so I guess I just watched the stock market. At this time, the Fed Funds Rate was zero.

하지만 저는 2011년 4월 말에 미국 주식시장을 봤을 때 별다른 이상이 없어서 주식시장을 관망만 했을 거 같아요. 이 당시의 미국 기준금리는 제로금리에요.



- 2014 ________________________


ㄴ 26


At the end of April 2014, the U.S. GDP Growth Rate was -1.4. But

2014년 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1.4가 나왔어요. 하지만



ㄴ 27 ( NASDAQ / 나스닥 )



But when I looked at the U.S. stock market at the end of April 2014, I didn't see anything wrong, so I guess I just watched the stock market. At this time, the Fed Funds Rate was zero.

하지만 저는 2014년 4월 말에 미국 주식시장을 봤을 때 별다른 이상이 없어서 주식시장을 관망만 했을 거 같아요. 이 당시의 미국 기준금리는 제로금리에요.



- 2022 ________________________



ㄴ 28


At the end of April 2022, the U.S. GDP Growth Rate was -1.6%. (The U.S. GDP Growth Rate is said to be three months late as a lagging indicator.)

https://richrichrichtogether.blogspot.com/2022/09/us-economic-growth-2-2.html



2022년 4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은 -1.6%였어요.

(경제성장률은 후행지표로써 3개월 늦게 나온다고 합니다.)

https://richrichrichtogether.blogspot.com/2022/09/us-economic-growth-2-2.html



ㄴ 29 ( NASDAQ / 나스닥 )



At the end of April 2022, the U.S. stock market was falling, so I guess I sold U.S. stocks at this time. At the end of April 2022, the Fed Funds Rate was zero.

2022년 4월 말에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 중이라서 저는 이때 미국 주식을 팔았을 거 같아요. 2022년 4월 말에 미국 기준금리는 제로금리였어요.



At the end of October 2022, the U.S. GDP Growth Rate grew at 3.2%. But I didn't buy U.S. stocks at this time.

2022년 10월 말에 미국 경제성장률이 3.2%로 올라요. 하지만 이때 미국 주식을 사지는 않았어요.


ㄴ 30 ( NASDAQ / 나스닥 )



On June 5, 2023, I actually bought U.S. stocks. The U.S. GDP Growth Rate is expected to grow at 2% in June 2023. The U.S. GDP Growth Rate for June 2023 is on the rise and was around 5%. The reason I bought U.S. stocks at this time was that I thought the U.S. stock market had passed its lowest point, and I thought that the U.S. stock market would continue to rise for at least one more year.

2023년 6월 5일에 저는 실제로 미국 주식을 샀어요. 2023년 6월달의 미국 경제성장률 2%에요. 2023년 6월달의 미국 기준금리는 오르는 중이고 약 5%였어요. 이때 미국 주식을 산 이유는 미국 주식시장이 최저점을 지났다고 생각했고 앞으로 적어도 1년 이상은 미국 주식 시장이 우상향할 거라고 생각했어요.



As you have seen, there was a negative U.S. GDP Growth Rate and then the U.S. stock market crashed. And there have been times when the U.S. stock market crashed and then there was negative U.S. GDP Growth Rate. And there have been times when there has been negative U.S. GDP Growth Rate, but the U.S. stock market hasn't crashed. I would consider selling U.S. stocks if the U.S. has negative U.S. GDP Growth Rate and the U.S. stock market is down. I'm also going to refer to the Fed Funds Rate at that time.

앞에 보셨다시피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이 나오고 그 후에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한 적이 있어요. 그리고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한 후에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이 나온 적도 있어요. 그리고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이 나왔지만, 미국 주식시장이 폭락하지 않은 적도 있어요. 저는 미국에 마이너스 경제성장률이 나오고 미국 주식시장이 하락세면 미국 주식을 파는것을 고려해 볼 거예요. 그리고 그 당시의 미국 기준금리도 참고하려고 해요.




< Fed Funds Rate >

< 미국 기준금리 >



ㄴ 31



Since 2000, the Fed Funds Rate has fallen in 2001, 2007, and 2019. And from what I wrote above, it seems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decline in the US stock market and the decline in the Fed Funds Rate. 2000 was the dot-com bubble, 2007 was the financial crisis, and 2019 was the COVID-19. I'm going to think about selling U.S. stocks when Fed Funds Rate fall from their peaks. Don't follow this strategy.

2000년 이후로 미국 기준금리가 내린 연도는 2001년, 2007년, 2019년이에요. 그리고 위에 써놓은 글을 보면 미국 주식시장 하락과 미국 기준금리 하락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처럼 보여요. 2000년은 닷컴버블, 2007년은 세계금융위기, 2019년은 코로나19 사태에요. 저는 미국 기준금리가 고점에서 하락할 때 미국 주식을 파는 거에 대해서 고민할 거예요. 이 전략을 따라 하지 마세요.





I looked at the U.S. GDP Growth Rate, the U.S. stock market, the Fed Funds Rate, and wrote about when I was selling U.S. stocks. Don't sell stocks this way.

이상 미국 경제성장률, 미국 주식시장, 미국 기준금리를 보고, 제가 미국 주식을 판매하는 경우에 대해서 적어봤어요. 이런 방식으로 주식을 팔지 마세요.




< Nasdaq Top 5 Companies >

나스닥 상위 5위 기업 >



I'm going to sell a stock of a company on the Nasdaq of the top 5 when the company goes out of the top 5 on the Nasdaq. And I'm going to buy a new top 5 stock. If the company you're trying to sell has a high yield and doesn't lose money, you'll sell. If the top 5 companies on the Nasdaq change their ranks while the U.S. stock market is going downwards, I'll hold on to the stock until the U.S. stock market starts trending upward again. And when the U.S. stock market is trending upwards, if there's a company that has been pushed out of the top 5 of the Nasdaq, I'm going to sell those stocks. At this time, I will also refer to the U.S. GDP Growth Rate, the US stock market, and the Fed Funds Rate and sell it. Don't follow this strategy.

저는 나스닥 상위 5위안의 기업이 5위 밖으로 나갔을 때 그 주식을 팔려고 해요. 그리고 새로 5위안으로 들어온 주식을 구매하려고해요. 팔려고 하는 기업의 수익률이 높아 손해가 없으면 팔 거예요. 만약 미국 주식시장이 우하향하는 중에 나스닥 상위 5위 기업의 순위가 바뀌었다면, 미국 주식시장이 다시 상승 추세를 보일 때까지 주식을 보유하려고 해요. 그리고 미국 주식시장이 상승 추세를 보일 때 나스닥 상위 5위에서 밀려난 기업이 있다면 그 주식은 판매할 거예요. 이때도 미국 경제성장률, 미국 주식시장, 미국 기준금리를 참고해서 판매할 거예요. 이 전략을 따라 하지 마세요.



Thank you for reading the long article.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Go to see related post
↓ 관련 글 보러 가기

https://richrichrichtogether.blogspot.com/2023/08/when-to-buy-stocks-when-to-sell-and.html



Source / 출처
finance.yahoo.com


I don't run and use community for stock investors and traders. I don't run and use investing chat room for stock market.
저는 주식 커뮤니티 사이트, 투자 커뮤니티 사이트, 주식 오픈채팅방, 투자 오픈채팅방을 운영하지도 사용하지도 않습니다.

Post for stock is simply for recording. This is not an investment invitation. The investor is responsible for all investments.
주식관련 포스트는 단순히 기록용입니다. 투자 권유를 위한 글이 아닙니다. 모든 투자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댓글

Popular posts (인기글)

My stocks portfolio 1 (나의 실제 주식 포트폴리오 1)

Fed Funds Rate and FOMC dot plot (미국 기준금리와 FOMC 점도표)

US economic growth 2-1 / 미국 경제성장률 2-1